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청도군에 위치한 은행나무로, 나이가 약 800년으로 추정된다. 높이 25.5m, 둘레 8.7m이며, 3m 높이까지 한 줄기에서 3개의 가지로 갈라지는 특징을 보인다. 맹아 및 유주가 발달했으며, 보조국사가 심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게 유주가 발달한 특징을 보이며, 생물학적, 민속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 제402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도군의 문화유산 -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는 경상북도 청도군 대전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 된 은행나무 수나무로, 천연기념물 제301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마을의 정자목이자 풍흉을 점치는 대상이었고, 도사와 여인에 얽힌 전설과 신라 말 행정구역 변경 시 경계목으로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는 문화적 가치가 높은 노거수이다. - 청도군의 문화유산 - 자계서원
자계서원은 조선 시대 문신 김일손을 기리기 위해 1518년에 창건되었으며, 사액을 받아 국가의 지원을 받았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복원되었고, 현재는 제사만 지내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천연기념물 - 동경이
동경이는 꼬리가 없거나 짧은 한국 토종견으로, 진돗개와 공통 조상을 가지며 옛 문헌에도 기록되어 있고, 일제강점기 대량 도살 후 품종 보존 노력으로 천연기념물이 되었으며,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가 보존 활동을 하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천연기념물 - 삽살개
삽살개는 삼국시대부터 한국인의 삶과 함께 해온 토종견으로, 악귀를 쫓는다는 의미를 지닌 다양한 별칭으로 불리며 사랑받았으나 일제강점기에 멸종 위기를 겪고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현재는 가정견 및 치료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유명한 은행나무 -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는 1962년 천연기념물 제76호로 지정되었으며,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에 위치하고 영월군에서 관리한다. - 유명한 은행나무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는 수령 약 800년의 거대한 은행나무로, 아름다운 형태와 양호한 보존 상태로 생물학적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으며 마을 사람들에게 풍요와 안녕을 가져다주는 신성한 존재로 숭배받고 있다.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이름 |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靑道 磧川寺 은행나무) |
지정 종류 | 천연기념물 |
지정 번호 | 402 |
지정일 | 1998년 12월 23일 |
주소 |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월곡안길 28-293 (원리) |
소유자 | 적천사 외 |
수량 | 3주 |
문화재청 ID | 16,04020000,37 |
2. 한국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2. 1. 역사와 전래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나이가 8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25.5m, 둘레 8.7m의 크기로 3m 위치까지 한 줄기이며 그 위부터는 3개의 가지로 나뉘었다. 맹아 및 유주가 유난히 발달했는데, 맹아는 새로 난 싹을 말하며, 유주는 가지 사이에 혹 또는 짧고 뭉뚝한 방망이처럼 생긴 가지를 말한다. 유주는 일종의 뿌리가 기형적으로 변한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일본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보기 힘든 모습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보조국사가 고려 명종 5년(1175)에 적천사를 다시 지은 후 짚고 다니던 은행나무 지팡이를 심은 것이 자라서 이처럼 큰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2. 2. 특징과 가치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대한민국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유주 발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 생물학적, 민속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2. 3. 문화와 민속
은행나무는 살아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보조국사가 고려 명종 5년(1175)에 적천사를 다시 지은 후 짚고 다니던 은행나무 지팡이를 심은 것이 자라서 이처럼 큰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3.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대한민국은 오래된 은행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있다. 이 나무들은 오랜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호수 | 품목 | 지정(등록)일 | 소재지 |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
---|---|---|---|---|---|
30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 1962.12.07 | 경기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6-1번지 | 대한불교조계종 용문사 | 양평군 |
59 | 서울 문묘 은행나무 | 1962.12.07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31 (명륜3가, 유림회관) | 문화재청 | 서울특별시 |
64 |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 1962.12.07 |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번지 | 울주군 외 | 울주군 |
76 |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1962.12.07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90-4번지 | 영월군 | 영월군 |
84 |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 1962.12.07 |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번지 | 건설부 외 | 금산군 |
165 |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 1964.01.31 | 충북 괴산군 청안면 청안읍내로3길 8, (청안초등학교 내) (읍내리) | 충청북도교육감 | 괴산군 |
166 |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 1964.01.31 | 강원 강릉시 주문진읍 장덕리 643번지 | 강릉시 외 | 강릉시 |
167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 1964.01.31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1495-1번지 | 원주시 | 원주시 |
175 |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 1966.01.13 |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744외 8필 | 국토교통부 | 안동시 |
223 |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 1970.04.27 |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5-14번지 | 국토교통부 외 | 영동군 |
225 |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 1970.06.03 | 경북 구미시 옥성면 이곡1길 10 (농소리) | 건설부 외 | 구미시 |
300 | 금릉 조룡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북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51외 2필 | 김녕김씨충의공파김천금릉종중 외 | 김천시 |
301 |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 638외 2필 | 농림수산부 외 | 청도군 |
302 |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외 3필 | 의령군 외 | 의령군 |
303 |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 1982.11.09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182-1번지 4필 | 건설부 외 | 화순군 |
304 |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 1982.11.09 | 인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산186번지 외 1필 | 강화군 | 강화군 |
320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1982.11.09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번지 4필 | 부여군 외 | 부여군 |
365 |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 1990.08.02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09번지 | 대한불교조계종 보석사 | 금산군 |
385 |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 1997.12.30 | 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 70번지 | 건설교통부 외 | 강진군 |
406 |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 1999.04.06 | 경남 함양군 서하면 운곡리 779번지 | 함양군 외 | 함양군 |
482 |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 | 2007.08.09 | 전남 담양군 무정면 봉안리 술지마을 1043-3번지 | 건설부 외 | 담양군 |
551 | 당진 면천 은행나무 | 2016.09.06 | 충청남도 당진시 동문1길 3 (면천면) | 충청남도교육청 외 | 당진시 |
562 |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 2021.02.08 | 인천 남동구 장수동 63-6번지 | 충청남도교육청 외 | 남동구청 |
3. 1. 천연기념물 지정 현황
3. 2. 주요 천연기념물 은행나무
호수 | 품목 | 지정(등록)일 | 소재지 | 소유자(소유단체) | 관리자(관리단체) |
---|---|---|---|---|---|
30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 1962.12.07 | 경기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 626-1번지 | 대한불교조계종 용문사 | 양평군 |
59 | 서울 문묘 은행나무 | 1962.12.07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31 (명륜3가, 유림회관) | 문화재청 | 서울특별시 |
64 |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 1962.12.07 |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번지 | 울주군 외 | 울주군 |
76 |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 1962.12.07 |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90-4번지 | 영월군 | 영월군 |
84 |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 1962.12.07 |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번지 | 건설부 외 | 금산군 |
165 | 괴산 읍내리 은행나무 | 1964.01.31 | 충북 괴산군 청안면 청안읍내로3길 8, (청안초등학교 내) (읍내리) | 충청북도교육감 | 괴산군 |
166 |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 1964.01.31 | 강원 강릉시 주문진읍 장덕리 643번지 | 강릉시 외 | 강릉시 |
167 | 원주 반계리 은행나무 | 1964.01.31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1495-1번지 | 원주시 | 원주시 |
175 |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 1966.01.13 |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744외 8필 | 국토교통부 | 안동시 |
223 | 영동 영국사 은행나무 | 1970.04.27 | 충북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5-14번지 | 국토교통부 외 | 영동군 |
225 | 구미 농소리 은행나무 | 1970.06.03 | 경북 구미시 옥성면 이곡1길 10 (농소리) | 건설부 외 | 구미시 |
300 | 금릉 조룡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북 김천시 대덕면 조룡리 51외 2필 | 김녕김씨충의공파김천금릉종중 외 | 김천시 |
301 |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북 청도군 이서면 대전리 638외 2필 | 농림수산부 외 | 청도군 |
302 |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 1982.11.09 | 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외 3필 | 의령군 외 | 의령군 |
303 |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 | 1982.11.09 | 전남 화순군 이서면 야사리 182-1번지 4필 | 건설부 외 | 화순군 |
304 |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 1982.11.09 | 인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리 산186번지 외 1필 | 강화군 | 강화군 |
320 |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 | 1982.11.09 | 충남 부여군 내산면 주암리 148-1번지 4필 | 부여군 외 | 부여군 |
365 |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 | 1990.08.02 | 충남 금산군 남이면 석동리 709번지 | 대한불교조계종 보석사 | 금산군 |
385 |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 | 1997.12.30 | 전남 강진군 병영면 성동리 70번지 | 건설교통부 외 | 강진군 |
402 |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 1998.12.23 |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월곡안길 28-293 (원리) | 적천사 외 | 청도군 |
406 | 함양 운곡리 은행나무 | 1999.04.06 | 경남 함양군 서하면 운곡리 779번지 | 함양군 외 | 함양군 |
482 |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 | 2007.08.09 | 전남 담양군 무정면 봉안리 술지마을 1043-3번지 | 건설부 외 | 담양군 |
551 | 당진 면천 은행나무 | 2016.09.06 | 충청남도 당진시 동문1길 3 (면천면) | 충청남도교육청 외 | 당진시 |
562 | 인천 장수동 은행나무 | 2021.02.08 | 인천 남동구 장수동 63-6번지 | 충청남도교육청 외 | 남동구청 |
3. 2. 1.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나이가 8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높이 25.5m, 둘레 8.7m의 크기로 3m 위치까지 한 줄기이며 그 위부터는 3개의 가지로 나뉘었다. 맹아 및 유주가 유난히 발달했는데, 맹아는 새로 난 싹을 말하며, 유주는 가지 사이에 혹 또는 짧고 뭉뚝한 방망이처럼 생긴 가지를 말한다. 유주는 일종의 뿌리가 기형적으로 변한 것이라고 생각되는데, 일본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든 모습이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보조국사가 고려 명종 5년(1175)에 적천사를 다시 지은 후 짚고 다니던 은행나무 지팡이를 심은 것이 자라서 이처럼 큰 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는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유주 발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오랜 세월 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 생물학적·민속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4. 은행나무와 관련된 문제점
은행나무 열매의 악취는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특히, 가을철 열매가 떨어져 썩으면서 발생하는 악취는 도시 미관을 해치고, 심한 경우 민원으로 이어진다.
은행나무는 도시 계획 및 개발 과정에서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도로 확장, 건물 신축 등 개발 사업으로 인해 오래된 은행나무를 베어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는 지역 주민이나 환경 단체의 반발을 살 수 있다.
은행나무는 암수 딴그루(자웅이주) 식물로, 열매는 암나무에서만 열린다. 문제는 묘목 단계에서 암수 구별이 어렵다는 점이다. 암나무를 심지 않기 위해 수나무만 골라 심으려 해도, 외형만으로는 정확한 구별이 어려워 암나무가 섞여 심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